BONGBONGJUS

LG건조기 콘덴서 케어를 해야하는 이유, 콘덴서케어방법, 건조기의 모든것! 싹다!

LG건조기 콘덴서 케어

건조기가 가정에 보급화 된 지가 7년 정도 되었습니다.
빨래를 마치고 바로 건조기로 건조를 하여 뽀송뽀송한 이불과 옷감을 만져볼 수 있습니다.
우리 가정에 필수품이 된 건조기 사용도 중요하지만 관리도 중요합니다.
이 글은 LG건조기 콘덴서케어를 해야 하는 이유와 콘덴서 케어를 하는 방법, 건조기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Index


건조기 용량별 차이점

LG 건조기

LG건조기는 초창기 8K, 9K가 시중에 나오기 시작하였습니다.
현재는 14K, 16K, 20K 등 다양한 크기의 건조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용량이 크면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A. 건조능력이 향상이 됩니다. [ 콤프레셔 용량 증가 ]
B. 통의 크기가 커집니다.
C. 모터의 힘이 증가됩니다.
D. 제품의 크기 증가 됩니다.

건조기의 용량이 커지면서 통 크기, 통을 돌리는 모터힘, 제품의 크기, 따뜻한 공기를 만들어주는 콤프레셔 용량등 모두의 능력이 증가됩니다.


건조기 소음이 커지는 이유



건조기를 2~3년 이상 사용하다보면 소음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통이 돌아가면서 뚝뚝, 통이 돌아가면서 뚝뚝 이런 소음이 반복되다가 나중에는 소음이 더 커질 수가 있습니다.

그 이유에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건조기 통을 돌려주는 것은 모터가 돌려줍니다.

건조기 통이 잘 돌아가도록 베어링역할을 하면서 통이 이탈되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롤러라는 바퀴입니다.
모터는 통을돌리고 바퀴는 통이 잘 돌아가도록 해주는데 오래 사용하다 보면 바퀴가 점점 소모가 됩니다.

자동차 타이어처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소모가 되는 부품입니다.
건조기 소음이 발생되기 시작하다가 이제는 이 소음이 너무 커서 듣기 힘들다고 판단이 될 때 A/S에 접수해서 바퀴를 교체하세요.

그리고 소모성부품이다 보니 수리비용은 발생됩니다.


콘덴서 케어를 해야 하는 이유

LG 건조기 필터


콘덴서케어를 왜 해야 할까요?
그 이유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건조기의 먼지망을 보시면 구멍이 작아서 눈으로 자세히 봐야 구멍이 보일 정도입니다.
건조기 필터는 미세먼지까지 먼지망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건조기를 사용하다 보면 먼지가 발생이 되고 그 먼지는 먼지망에 걸러지게 됩니다.
하지만 그 먼지보다 더 미세한 미세먼지 같은 경우 필터사이로 빠저나 갈 수가 있습니다.

그 먼지들이 필터를 통과하면 쌓이는 곳이 콘덴서입니다.
그럼 콘덴서를 세척해야 하지 않을까요?

건조기 먼지

위 사진은 먼지를 확대한 사진입니다.


당연히 제거해야 합니다.
콘덴서에 쌓여있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콘덴서 케어입니다.

콘덴서 케어는 자주 해주시면 좋습니다.
어느 정도 자주 해줘야 할까요?

보통 1주일에 1회 정도 하면 됩니다.
건조기를 보통 다른 가정보다 많이 사용한다면 1주일에 2회 정도 해주셔도 좋습니다.


콘덴서 케어 방법

LG 건조기

콘덴서 케어 방법은 간단합니다.

A. 도어를 열어주세요.
B. 필터를 제거해주세요.
C. 필터를 꽂는 부분에 물 1리터를 부어주세요.
D. 필터를 다시 꽂아주세요.
E. 도어를 닫아주세요.
F. 신형 – 전원을 켜고 콘덴서케어를 1회 눌러주시면 1시간 5분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구형 – 전원을 켜고 콘덴서케어를 3초 정도 계속 누르고 있으면 1시간 5분이 화면에 나타납니다.
G. 동작버튼을 눌러주세요.


콘덴서 케어 한 다음 먼지와 물은 어디로 갈까요?

콘덴서 케어를 한 다음 먼지와 물은 물통으로 받아집니다.
물통을 사용하지 않고 바로 직배수 방식으로 사용하신다면 물과 먼지는 물통으로 받아지지 않고 바로 하수구로 배수됩니다.


건조기 에러 발생 [ 물비움 표시 ]


건조기를 사용하다 보면 에러가 발생될수도 있습니다.
물통에 물이 없는데도 물비움 표시가 깜박 깜박 거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제품에 문제가 발생된 것이니 A/S센터로 문의하시길 바랍니다.


필터에서 먼지를 제거하지 않고 건조기를 작동하면?

[ 건조시간 늘어남, 건조시간 줄어들음 ]

위 사진은 건조기의 습도를 감지해 주는 센서입니다.
센서가 있는 위치는 필터 아래에 있습니다.

먼지로 필터가 막힌다면 건조기는 어떻게 동작할까요?
오동작을 할수있습니다.

건조가 다 되지않았는데도 계속 건조가 다 되었다고 판단하여 건조 중 종료가 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건조가 다되었는데 아직 건조가 다 안되었다고 판단해서 건조시간이 늘어날수있습니다.

습기가 필터아래에 있는 습도센서에 도달해야하는데 도달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습도센서가 판단하여 건조시간이 늘어날 수도 있고 조기에 종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필터 같은 경우 건조가 끝나면 무조건 세척하고 말린 다음 사용하세요.

이런 경우 필터를 하나 더 구매하셔서 2개로 번갈아가면서 사용하시면 더욱 편리합니다.

LG 건조기 필터

LG 건조기 필터 [ 8K, 9K ] 공통으로 사용

LG 건조기 필터 [ 14K, 16K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결 론


건조기에 대해 싹다! 알아봤습니다.
이제 우리 가정의 필수품이 된 건조기가 없다면 많이 불편하실 것입니다.
건조기 고장이 발생되기 전에 콘덴서에 먼지가 발생되는 것을 세척하여 제거해줘야 합니다.
콘덴서에 먼지가 계속 누적되어서 쌓이면 기계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사전에 방지하시길 바라면서 글을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무리합니다.


함께 보면 유익한 정보

추석 숙박 할인권 30만장 3만원할인 27일부터 제공! 숙박 세일 페스타



Leave a Comment

BongBongJus

카카오톡 채널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