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다가오면 꼭 챙겨야 할 게 있죠?
그것이 연말정산인데 올해도 어김없이 연말정산 시즌이 시작됐어요.
이 게시물은 2025년 연말정산 일정 기간 준비 방법에 대해 자세히 공유합니다.
목차
- 1. 연말정산이란?
- 2. 2025년 연말정산 일정 한눈에 보기
- 3.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 신청
- 4. 연간 근로소득 확정
- 5. 간소화 서비스 오픈
- 6. 자료 제출 및 검토
- 7. 연말정산 완료 및 영수증 발급
- 8. 원천징수 신고
- 9. 끝으로
1.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한 해 동안 미리 납부한 소득세와 실제로 내야 할 세금을 비교해 차액을 정산하는 과정이에요.
회사에서 매달 급여에서 떼는 소득세는 정확한 금액이 아니라 대략적인 추정치라서, 연말에 다시 계산해요.
소득과 공제 항목을 제대로 반영하면 환급을 받을 수도 있고요.
2. 2025년 연말정산 일정 한눈에 보기
아래는 연말정산 절차와 주요 일정을 간단히 정리한 표예요.
단계 | 기간 | 주요 내용 |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 신청 | 2024년 12월 초 ~ 2025년 1월 19일 | 홈택스에서 자료 제공 동의 후 회사가 일괄적으로 자료 수집 |
연간 근로소득 확정 | 2025년 01월 14일 | 연간 소득과 추가 소득 신고 |
간소화 서비스 오픈 | 2025년 01월 15일 | 공제 항목 조회 가능 |
자료 제출 및 검토 | 2025년 1월 20일 ~ 2월 중순 | 공제 자료 회사 제출 및 피드백 |
정산 완료 및 영수증 발급 | 2025년 02월 28일 | 세액 계산 후 환급 또는 추가 납부 처리 |
원천징수 신고 마감 | 2025년 03월 10일 | 회사가 국세청에 모든 자료 제출 |
3.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 신청

2024년 12월부터 홈택스에서 간소화 자료 일괄 제공 신청을 할 수 있어요.
이 서비스에 동의하면 회사가 필요한 공제 자료를 자동으로 내려받을 수 있어요.
신입이나 이직자라면 반드시 홈택스에 접속해 동의를 새로 해야 해요.
기한은 2025년 1월 19일까지니까 잊지 마세요!
만약 회사가 일괄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다면, 근로자가 홈택스에서 PDF 파일을 직접 내려받아 제출해야 한답니다.
4. 연간 근로소득 확정
2025년 1월 14일까지는 한 해 동안의 근로소득 총액을 확정해야 해요.
만약 연중 신고되지 않은 소득이 있다면, 추가로 반영해서 정확한 소득을 계산하게 돼요.
이 과정이 제대로 이뤄져야 연말정산도 정확히 진행될 수 있어요.
5. 간소화 서비스 오픈
2025년 1월 15일부터는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신용카드 사용액, 기부금 등 공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어요.
서비스가 오픈되고 처음 며칠 동안은 자료 업데이트가 계속 이뤄지니, 1주일 정도 기다렸다가 확인하는 게 좋아요.
6. 자료 제출 및 검토

2025년 1월 20일부터는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한 공제 자료와 별도로 필요한 서류를 회사에 제출해야 해요.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항목이 있다면?
- 영수증 발급기관에서 국세청에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어요.
- 이 경우, 근로자가 직접 증빙 자료를 발급받아 회사에 제출해야 해요.
- 특히 의료비는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 신고센터’를 통해 국세청에 누락된 자료를 요청할 수 있답니다.
7. 연말정산 완료 및 영수증 발급
2025년 2월 말까지는 회사가 정산을 마무리하고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해 줘요.
급여에서 정산된 세액을 반영해 환급금이 있다면 돌려받고, 추가 납부가 있다면 그만큼 공제돼요.
8. 원천징수 신고
마지막으로 2025년 3월 10일까지 회사가 국세청에 원천징수 신고서를 제출하면 연말정산이 완전히 끝나요.
근로자는 별다른 추가 신고 없이 정산 결과를 확인하면 돼요.
9. 끝으로
연말정산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잘 준비하면 예상치 못한 환급금을 받을 수도 있어요.
공제 항목을 꼼꼼히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기한 내에 준비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조금만 신경 쓰면 올해도 성공적인 연말정산을 할 수 있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