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BONGJUS

세탁기 썩은 냄새 – 통돌이 세탁기 완전 분해 세척방법 [ 분해공구와 분해방법 ]



통돌이 세탁기 완전 분해 세척방법은 처음 세탁기를 구매해서 3~5년 정도 사용하면 세탁기 속이 얼마나 더러울지 궁금할 것입니다.
저 같은 경우 섬유유연제를 사용하지 않고 세척 없이 12년을 계속 써왔습니다.

12년 만에 통돌이 세탁기 완전 분해 세척을 하였고 세탁기 속이 얼마나 더러운지, 또 분해방법과 분해공구 그리고 분해 시 변수들에 대해 모두 알려드립니다.


Index

1. 세탁기 내부 세균과 냄새


흑곰팡이

세탁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부터 곰팡이 냄새부터 심한 경우 하수구 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세탁기에서 냄새가 심할 경우 업체를 통해 분해세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탁기 내부에는 찌든 때와 세균들이 상당히 증식하고 있습니다.
흑곰팡이부터 대장균, 바실러스균, 녹농균등 다양한 미생물들까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많은 양의 세균들이 증식하고 있습니다.

세탁기 내부는 습하고 따뜻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생기기가 쉽습니다.
통 내부를 보면 10cm 당 평균 990,000개의 세균 덩어리가 발견됩니다.


2. 세제를 이용한 세척


과탄산소다 유한락스

우리는 가정에서 구연산, 식초, 베이킹소다등 다양한 천연세제를 이용하여 냄새와 찌꺼기 제거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약간의 도움은 되지만 달라붙어있는 찌꺼기가 제거되지는 않습니다.


제가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모두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A. 천연세제를 사용했을 때 많은 도움은 되지 않지만 일부 제거는 됩니다.
B. 빈통에 락스 1.5리터 1병을 모두 넣고 물높이는 레벨 2로 설정한 뒤에 헹굼 동작을 해보았습니다.
[ 확실히 많은 양의 찌꺼기가 제거됩니다. 하지만 사용 후 통내부를 깨끗하게 씻지 않는다면 락스성분이 옷과 피부에 묻을 수 있어서 비추천합니다. ]
C. 식초를 200ml 넣고 물높이는 레벨 3으로 설정한 뒤에 헹굼을 동작해 보았습니다.
[ 냄새만 조금 제거될 뿐 찌꺼기는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

여러 가지 실험을 해보았는데 강력한 세제를 사용한 뒤에 통을 깨끗이 씻어도 다른 문제가 발생됩니다.
통내부에 붙어있던 찌꺼기가 빨래할 때마다 물에 둥둥 떠다닙니다.

여러 가지 실험을 해본 결과 세탁기 통을 분해해서 세척하는 것이 제일 깔끔하고 개운합니다.


3. 세탁기 분해공구


세탁기 분해 공구

유튜브나 블로그를 보면 세탁기통을 쉽게 빼내는 것만 나옵니다.
그러나 항상 변수는 있습니다.

세탁기를 일부 분해했는데 통이 안 빠진다면 어떨까요?
안 빠지는 통을 빼내는 도구도 필요합니다.



A. 임팩렌치 – 38mm 육각너트 제거용
B. 전동드라이버 – 나사 제거용
C. 깔깔이 – 삼바리을 돌릴 때 사용 [ 몽키 스페너로 대신 사용해도 상관없습니다. ]
D. 복스 – 10mm 회전판 육각너트 제거용
E. 삼바리 – 세탁기통 안 빠질 때 쉽게 빼내는 공구
F.  ㅡ 드라이버 – 회전판 위쪽 캡 뺄 때 사용

세탁기가 오래되어서 내부 스테인리스 통이 중심축과 달라붙어서 안 빠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삼바리를 이용하면 힘하나 안 들이고 통을 빼낼 수 있습니다.


4. 세탁기 분해시 변수


세탁기 분해 할 때 잘 풀리는 것은 나사부터 통까지 잘빠집니다.
하지만 통과 회전판이 찌든 때로 고착된 상태라면 잘 안 빠질 수 있습니다.

아래는 세탁기 분해 시 발생될 수 있는 3가지 변수입니다.


A. 회전판이 안 빠지는 경우
B. 통 상단커버 나사 부식으로 안 풀리는 경우
C. 통이 안 빠지는 경우



A. 회전판이 안 빠지는 경우


회전판이 안 빠지는 경우

회전판 가운데 나사를 풀었는데 회전판이 안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회전판에 도구를 걸어서 잡아당길 수 있는 틈이 없습니다.

아무리 힘줘서 회전판을 빼내려고 해도 안 빠지는 경우 세척을 포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꼭 세척을 해야 한다면 회전판을 그라인더로 잘라내고 가운데 연결 부분은 토치로 달궈서 빼내야 합니다.

또한 기존의 회전판은 그라인더로 잘랐기 때문에 새로운 회전판을 구매해서 끼워야 합니다.




B. 통 상단커버 나사 부식으로 안 풀리는 경우


탑커버 녹슬은 나사

통의 상단 커버에 8~10개 나사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나사에 물이 닿다 보면 부식이 되어서 십자 부분이 거의 사라지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만약 나사가 부식되었다면 처음부터 전동 드라이버를 사용하지 말고 ㅡ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힘줘서 살살 풀어나가야 합니다.
나사가 부식되었는데 전동드라이버로 풀다가 십자 부분이 마모가 되었다면 ㅡ 드라이버로 나사를 힘줘서 풀어보아야 합니다.

ㅡ 부분도 마모가 되었다면 나사를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C. 통이 안 빠지는 경우


통이 안 빠지는 경우

38mm 육각너트를 제거하고 통을 빼내기 위해 통을 들어 오렸으나 축과 통이 달라붙어서 안 빠진다면 삼바리를 이용하여 통을 분리시켜야 합니다.
이때는 삼바리를 이용하면 힘 안 들이고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삼바리를 이용할 경우 축에 회전판 나사를 일부 고정시키고 삼바리를 이용하여 통을 제거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축의 나사고정하는 부분이 삼바리의 중심부의 힘에 의해 일 그러 질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회전판을 넣고 고정할 수가 없게 됩니다.
축까지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니 꼭 참고 후 통을 제거해야 합니다.




5. 세탁기 분해방법 [ 통돌이 세탁기 완전 분해 세척방법 ]


A. 컨트롤 판넬 캡과 나사제거 [ 통돌이 세탁기 완전 분해 세척방법 ]

A. 캡 좌측과 우측모두 제거합니다.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살살 위로 올려서 제거해 주세요.
캡의 고정 다리가 쉽게 끊어질 수 있으니 살살 제거해 주세요.
만약 캡의 다리가 끊어졌다면 조립마지막에 실리콘을 캡아래쪽에 살짝 발라서 끼워주세요.

B. 긴 나사를 제거합니다.
만약 나사의 머리 부분이 녹슬었다면 8mm 육각을 이용하여 제거하세요.




B. 상판 뒷나사제거후 상판 위로 들기

C. 상판 뒤쪽에 나사 좌측과 우측 2개를 제거합니다.

D. 상판을 위로 들어 올려주세요.
최대한 작업하기 편하게 고정해 주세요.


C. 회전판 캡 제거



D. + 나사 8개를 풀어주세요.
나사의 머리 부분이 녹슬었다면 전동을 사용하지 말고 ㅡ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힘줘서 살살 풀어주세요.


D. 회전판 캡 회전판제거

E. 회전판 캡을 제거해 주세요.
회전판 캡의 아래쪽을 손으로 만져보면 ㅡ 드라이버가 들어갈 부분이 있습니다.
그곳에 ㅡ 드라이버를 끼워 넣고 위로 들어 올려서 제거해 주세요.

F. 회전판을 제거해 주세요.




E. 38mm 육각너트제거

G H. 육각너트 38mm를 제거해 주세요.


F. 삼바리로 내부통제거

I. 통이 안 빠질 경우 삼바리를 이용하여 제거해야 합니다.
삼바리를 사용하기 전에 I 부분에 회전판 나사를 끼운 다음 몇 바퀴만 돌려서 고정해 주세요.

J. 삼바리를 통의 축에 고정해 주세요.




G. 삼바리제거및 나사제거

K. 깔깔이나 몽키스페너를 이용하여 돌려주세요.
통이 풀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 나사를 풀어서 제거해 주세요.

내부통, 외부통, 회전판, 통 상단커버, 필터를 모두 깨끗이 씻은 다음 조립하면 됩니다.
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하면 됩니다.






6. 끝으로


통돌이 세탁기 분해과정부터 분해 시 발생될 수 있는 변수들과 세척방법까지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12년 동안 통을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 보니 통 내부가 많이 더러운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세탁기에서 하수구 냄새가 난다면 꼭 분해세척을 하여 더러운 찌꺼기를 제거해 주세요.
보통 짧게는 3년 ~ 5년 사이에 한 번씩 통 세척 후 사용한다면 좀 더 깨끗한 환경에서 빨래를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괜찮았다면 많이 공유해주세요.

함께 보면 더 좋은 글
에어컨 세척을 하는 이유 [ 에어컨 퀘퀘한 냄새 및 모든 냄새 원인! ]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5 / 5. 투표수 8543

가장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BongBongJus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