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 원인과 기후 변화 문제점[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
우리가 버리는 쓰레기와 제품을 만들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로 인하여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뜨거워지는 지구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연재해가 우리에게 무섭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지구온난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또 우리가 할 수 있는 노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Index
지구온난화 심각성
![지구 온난화 원인과 기후 변화 문제점[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 2 지구온난화 심각성](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1/지구온난화-심각성.jpg)
현재 우리는 지구온난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채감을 할 수 없습니다.
여름에는 원래 더웠고, 겨울에는 원래 추웠다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지구 온난화현상이 발생되면 어떤 문제점들이 있을까요?
현재 엘리뇨현상, 가뭄, 폭염, 물폭탄급 비, 허리케인, 태풍 등 다양한 이상기후가 발생됩니다.
그리고 인도와 미국등 여러 지역에서 심각하게 하늘이 물을 빨아들이고 그 물이 파키스탄, 아프리카, 독일등에 물폭탄으로 쏟아지는 현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이 현상이 엘리뇨현상입니다.
높은 온도로 인하여 바닥에 있던 물들이 수증기가 되어 대기의 강이 형성되고, 그 대기의 강이 저기압과 만나면서 물폭탄으로 쏟아집니다.
그래서 이례적으로 아프리카에도 상당량의 비가 내리면서 홍수가 발생하기도 하였습니다.
또 다른 경우는 영국 같은 경우 2022년부터 여름의 기온이 대부분 35도~40도를 넘었습니다.
영국은 여름에도 평균 30도를 넘는 날이 거의 없었는데 2022년부터 심각한 지구 온난화 현상이 발생된 나라 중하나입니다.
2022년도 영국 국민들은 여름에 매우 힘들었습니다.
그 이유는 에어컨이 영국 전역의 5%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영국은 여름에도 평균 22 ~ 26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에어컨도 필요 없는 나라였지만 현재는 각 가정마다 에어컨을 많이 설치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같은 경우 여름에 30도가 넘는 날이 많아서 각 가정마다 에어컨이 필수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앞으로 점점 폭염이 심해질 것입니다.
지구 온난화 원인
![지구 온난화 원인과 기후 변화 문제점[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 3 지구 온난화 원인](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1/지구온난화현상-주범1.jpg)
지구 온난화 원인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A.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면서 발생되는 부패가스
B. 소, 돼지, 닭등 가축의 배설물 가스
C. 공장굴뚝에서 나오는 매연
D. 자동차 매연
E. 화석연료 [ 연탄, 석탄 ]
F. 에어컨 가스 [ 실외기 응축기 터지면서 발생, 에어컨교체로 인해 발생 ]
이 모든 것들이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부분입니다.
한마디로 사람이 환경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부패 가스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쓰레기통에 버리거나 몰래 땅에 묻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만 하루에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 양이 대략 12,830톤입니다.
한국에서만 나오는 양이 12,830톤인데 전 세계적으로 따지면 그 양이 얼마나 될까요?
하루평균 대략 440만 톤입니다.
여름철에는 뜨거운 공기에 노출되면 금방 부패하기 시작합니다.
하루 440만 톤의 음식물쓰레기가 부패하면서 가스가 생성되는데 그 가스가 지구 온난화의 주범입니다.
가축의 배설물 가스
가축 키우고 도살하는 과정에서 두 번의 가스가 발생됩니다.
아래 두 가지 발생원인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소, 돼지, 닭 이 가축들은 우리가 매일같이 먹는 고기입니다.
가축을 키우면 배설물이 발생이 되는데 배설물이 공기와 접촉하면서 미생물들이 생깁니다.
미생물들이 배설물을 분해하면서 가스가 발생되는데 이 가스가 지구 온난화를 상승시킵니다.
그렇다고 고기를 안 먹을 수도 없고, 배설물을 미생물이 발생 안 되도록 처분하는 방법도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두 번째
가축을 도살할 때 도살장으로 이동합니다.
도살장에서 가축을 도살하고 피를 모두 빼냅니다.
피와 고기를 물로 씻어내는데 피와 물이 섞이면서 가스가 발생합니다.
핏물은 공장 내에 정화시설이 있습니다.
정화장에 들어가 보면 심한 악취와 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장굴뚝에서 매연, 자동차 매연
![지구 온난화 원인과 기후 변화 문제점[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 4 지구온난화현상 주범](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1/지구온난화현상-주범.jpg)
공장단지를 지나가다 보면 굴뚝에서 흰 연기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연기가 이산화탄소입니다.
공장 굴뚝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전에 정화시설을 거쳐서 이산화탄소를 따로 분리하면 좋지만 정부에 안일한 대처만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자동차는 전기차로, 컨테이너선 같은 경우 친환경선박으로 대부분 교체하고 있습니다.
우리 생활이 편리해지면서 환경은 점점 안 좋아지고 있습니다.
이대로 계속 생활한다면 지구 온난화를 막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늦출 수는 있습니다.
우리가 조금만 관심을 갖고 뒤를 돌아본다면 개선해 나갈 방법은 많이 있습니다.
화석연료
화석연료를 태워서 에너지를 얻는 것들 중 자동차, 기름보일러, 연탄, 석탄 등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자동차, 기름보일러, 연탄은 우리 주변에서 많이 개선되고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석탄은 아직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석탄발전소가 있고, 중국은 우리나라보다 훨씬 많은 양의 석탄을 태워서 에너지를 얻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로 스모그현상이 자주 출범하는 이유가 중국에서 석탄을 태워 발생하는 미세먼지들입니다.
중국 공장들이 서해안 근처에 밀집되어 있어서 미세먼지도 우리나라로 많이 유입됩니다.
에어컨 가스
에어컨 가스 같은 경우 자세한 내용이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이 부분도 큰 문제 중하나입니다.
현재 에어컨 가스로 많이 사용되는 것이 R410입니다.
이 가스는 지구 온난화지수(GWP)가 2088입니다.
현재 각 브랜드 에어컨들이 실외기의 응축기를 동배관에서 알루미늄으로 바뀐 지 오래됐습니다.
알루미늄은 동배관에 비해 내구성이 약합니다.
여름마다 응축기라는 부품이 터지는 이유가 동배관에서 알루미늄으로 바뀌면서 발생되었습니다.
이 또한 정부정책 때문에 각 브랜드사에서 알루미늄대부분 바꾸었습니다.
에어컨 교체할 때도 에어컨에 들어있는 가스를 공기 중으로 모두 방출한 다음 철거를 합니다.
또 에어컨가스를 공기 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실외기로 몰아놓고 철거했다고 하여도 폐기장에서 그 가스를 공기 중으로 모두 방출합니다.
에어컨도 환경오염이 심해지는 이유 중하나입니다.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지구온난화 개인적 노력 ]
![지구 온난화 원인과 기후 변화 문제점[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 5 식목일 나무심기 갯벌보호 [지구온난화 해결방안 ]](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1/식목일-나무심기-갯벌보호-1024x339.jpg)
지구 온난화를 극복하려면 정답은 옛날 원시시대로 돌아가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럴 수가 없지요.
그럼 개인이 노력해야 할 부분은 무엇이 있을까요?
A. 최대한 음식물 쓰레기를 만들지 말아야 합니다.
B.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이 되는 플라스틱제품들을 최대한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C. 전기나 가스와 같은 에너지 사용량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
D. 쓰레기 분리수거
E. 가까운 거리는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고 걸어 다니는 습관을 만들어야 합니다.
F. 국내산 제품을 이용해야 합니다. [ 수입품은 배와 비행기를 이용하여 국내로 반입되기 때문입니다. ]
G. 4월 5일 식목일 나무 심기를 꼭 해보세요.
H. 생활에 필요한 제품이나 물건들을 실증 나서 버리지 말고 오래 사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I. 갯벌보호 [ 갯벌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
J. 음식을 배달보다 다회용기를 가지고 방문하여 음식을 담아 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우리 생활 속 습관부터 바꿔야 지구 온난화를 최대한 늦출 수가 있습니다.
모두 함께 아껴 쓰는 습관을 꾸준히 노력하고 절약을 한다면 지구가 뜨거워지는 것을 늦출 수 있을 것입니다.
![지구 온난화 원인과 기후 변화 문제점[ 지구 온난화 해결방안 ] 6 친환경에너지](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1/친환경에너지.jpg)
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