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BONGJUS

전기차 화재원인! 전기차 충전문제 이유! 화재위험 0% 고체 전해질 배터리!



전기차 화재원인! 전기차 충전문제 이유! 화재위험 0% 고체 전해질 배터리!

내연기관차량은 많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전기차가 메꾸고 있습니다.
전기차가 많이 보급되면서 문제들도 하나씩 발생되고 있는데 그중에서 화재발생사고가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이 게시물은 전기차 화재발생원인에 대해 자세히 공유합니다.


Index


전기차 충전문제


전기차 충전문제

전기차는 연료가 전기입니다.
내연기관차처럼 기름을 넣지 않기 때문에 차량운행 후 배터리충전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전기차 배터리 충전 시 보통 차량에 충전기를 꽂아놓고 다음날이나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차량으로 가서 충전기를 빼줍니다.
이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됩니다.

전기차 충전 시 화재발생에 대해 언론매체를 많이 접해보았을 것입니다.
충전이 완충된 이후 1시간가량 지난 시점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습니다.



배터리에 완충전이된 이후에도 충전기를 계속 꽂아놓게 되는 경우 배터리로 전류가 계속 흐르고, 많은 배터리셀중에 불량난 하나의 배터리 셀에 과충전 되면서 화재가 발생됩니다.
전기차량의 경우 하나의 셀에 과충전이 발생되면 문제 되는 셀에서 화재가 발생되고 그로 인해 옆에 있는 배터리셀까지 불이 옮겨 붙습니다.

배터리가 하나씩 터지면서 열폭주를 일으켜 거 잡을 수 없는 화재로 이어집니다.
또 다른 예는 차량이 사고로 인하여 배터리에 충격이 발생한 경우 배터리 내부에 분리막이 손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분리막이 손상되면 음극과 양극이 서로 만나게 되고 그로 인해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배터리 충격을 제외하고 정부는 과충전으로 인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전이 모두 끝나게 되면 유 무선 통신장비를 통해 차주에게 알림을 보내는 장비를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 문제로 해결되지 않을 것입니다.
만약 차주가 핸드폰을 무음으로 변경하였거나 잠을 자는 상황이면 통신장비 또한 무용지물이 됩니다.

차라리 충전이 완료되면 전류를 차단하는 시스템을 더 보완하는 것이 나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기차 화재 대안 고체 전해질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 전기차 화재원인! 전기차 충전문제 이유! 화재위험 0% 고체 전해질 배터리! ]

배터리는 한번 불이 붙으면 진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차량을 물에 담가놓는다고 하여도 열폭주를 줄이는데 많은 도움은 되지만 마지막 배터리까지 폭발해야 끝나기 때문에 쉽게 화재를 진압하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런 문제를 보안하기 위해 삼성 SDI, LG에너지설루션, SK이온에서 액체 전해질 배터리가 아닌 고체형 전해질을 사용해 만든 배터리를 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배터리 단가가 비싸기 때문에 현실에서 사용량이 적고 값싼 중국산 리튬이온 배터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화재로부터 안전한 배터리가 있어도 단가 문제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현실입니다.


고체 전해질 배터리


기존의 리튬이온의 액체 전해질을 고체형태의 전해질로 만든 배터리입니다.
전고체 전해질 배터리는 에너지밀도도 높고, 부피도 적고, 용량도 상당히 늘어납니다.

기존 배터리의 충전속도도 80% 충전할 경우 40분 정도 걸린 것을 5분 내외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고체형태의 배터리여서 화재발생률 0%에 가까워서 꿈의 배터리라고도 불립니다.




끝으로


한국은 배터리강국입니다.
우리 기술로 만든 고체 전해질 배터리의 단가가 낮아져서 전기차에 고체전해질배터리가 들어간다면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전기차를 좀더 기다렸다 구매 할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함께 읽으면 더 좋은 글
AI 탑재된 갤럭시 S24울트라, 갤럭시 S24플러스, 갤럭시 S24 비교분석과 추가된 특징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수 0

가장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BongBongJus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