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로 인해 치료를 받아야 할 때,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아요.
또한 산재 신청을 어떻게 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거예요
이 게시물은 산재보험 신청방법 및 절차와 서류 처리 보상 절차, 받을 수 있는 급여 종류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목차
- 1. 산재보험 신청방법 및 절차
- 2. 받을 수 있는 보상과 급여 종류
- 3. 산재처리 요양급여 신청서 및 소견서
- 4. 산재보상 신청 방법
- 5. 업무상 재해
- 6. 산재보험 신청 시 유의할 점!
- 7. 끝으로
추천글 : 산업 재해 기준점
1. 산재보험 신청방법 및 절차
산재보상을 신청하고 나면, 보상 절차와 재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요.
산재보상 절차 한눈에 보기
단계 | 주요 내용 |
---|---|
1. 산재 신청 | 요양 신청서 접수 (우편, 팩스, 온라인) |
2. 치료 중 보상 | 병원비, 휴업급여, 간병료, 교통비 지원 |
3. 재활 서비스 지원 | 의료재활, 사회심리재활, 직업복귀 지원 |
4. 치료 종료 후 보상 | 장해급여, 재요양 신청 가능 |
5. 직장 복귀 지원 | 원직장 복귀, 타직장 취업 지원 |
2. 받을 수 있는 보상과 급여 종류
![산재보험 신청방법 및 절차와 서류 처리 2 받을 수 있는 보상과 급여 종류 [ 산재보험 신청방법 ]](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5/02/받을-수-있는-보상과-급여-종류.jpg)
산재보험에서는 다양한 보상과 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 어떤 급여가 있는지 쉽게 정리해 볼게요.
요양급여 (치료비 지원)
치료를 받는 동안 병원비와 관련된 모든 비용을 지원해 줘요!
보상 항목 | 지원 내용 |
---|---|
진료비 | 치료에 필요한 병원비 |
간병료 | 치료 중 간병인이 필요한 경우 |
이송비 | 병원 이동 시 발생하는 비용 |
보조기 지원 | 치료를 위해 필요한 보조기구 |
휴업급여 (일 못한 기간 동안 보상금 지급)
치료로 인해 출근을 못 하면 임금의 일부를 받을 수 있어요.
항목 | 지원 금액 |
---|---|
휴업급여 | 평균 보수의 70% 지급 |
상병보상연금 | 요양 기간이 2년 이상이고 상태가 심하면 지급 |
장해급여 (장애가 남았을 경우 보상금 지급)
치료 후에도 장애가 남으면 보상을 받을 수 있어요.
등급 | 보상 내용 |
---|---|
1급~14급 | 장애 정도에 따라 보상금 지급 |
직업복귀 지원 (재취업과 원직장 복귀 지원)
산재 후에도 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있어요!
지원 내용 | 대상 |
---|---|
직업훈련비용 지원 | 새로운 직업을 배우고 싶은 사람 |
원직장 복귀 지원 | 기존 직장으로 복귀할 경우 |
취업알선 및 재취업 지원 | 다른 직장에서 새롭게 일하고 싶은 사람 |
3. 산재처리 요양급여 신청서 및 소견서
아래 버튼을 누르면 요양급여 신청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4. 산재보상 신청 방법
산재 신청은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어요.
신청 방법 | 신청 가능 장소 |
---|---|
우편 | 근로복지공단 관할 지사 |
팩스 | 요양 신청을 접수하는 의료기관 |
온라인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One-Click 산재상담 및 신청’ 이용) |

- 산재 신청시 위 버튼을 눌러 고용보험 홈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One-Click 산재상담 및 신청을 선택후 진입하면 됩니다.

- 동의함을 체크 한 다음 상담신청을 누릅니다.

- 위 개인 및 회사 인적 사항을 모두 작성한 하세요.

- 재해내용을 모두 입력하고 첨부파일은 소견서를 첨부하면 됩니다.
- 접수 신청하면 공단에서 연락이 따로 올것입니다.
- 그리고 만약 추가 필요 서류가 있을 경우 공단 직원이 자세히 안내 해줄것입니다.
꼭 확인하세요!
- 요양 신청서는 진단서를 발급한 병원의 관할 지사에서 처리해요.
- 온라인 신청은 빠르고 간편하니까 활용해 보세요!
5. 업무상 재해

산재보험은 업무상 재해가 인정될 때 받을 수 있어요. 업무상 재해는 세 가지 종류로 나뉘어요.
업무상 재해 | 설명 |
---|---|
업무상 사고 | 일하는 중 발생한 사고 (시설물 결함, 행사 중 사고, 휴게시간 중 사고 등) |
업무상 질병 | 업무로 인해 생긴 질병 (화학물질 노출, 직장 내 스트레스 등) |
출퇴근 재해 | 출퇴근 중 발생한 사고 |
노무제공자(특수고용직)도 산재보험 적용 가능!
2023년 7월 1일부터는 특수고용직(배달기사, 학습지 교사 등)도 산재보험을 받을 수 있어요.
6. 산재보험 신청 시 유의할 점!
1️⃣ 신청 후 심사 과정이 필요해요!
→ 신청했다고 바로 보상이 나오는 건 아니고, 업무상 재해 여부를 심사한 후 결정돼요.
2️⃣ 신청 서류를 꼼꼼히 준비하세요!
→ 요양 신청서, 진단서, 사고 경위서 등이 필요할 수 있어요.
3️⃣ 보상을 받더라도 직장 복귀도 고려하세요!
→ 산재 이후에도 직업훈련을 받고 새로운 일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이 많아요.
Q1 산재보험 신청 후 결과는 언제 나오나요?
A1. 보통 평균 14~30일 이내에 결과가 나와요.
다만, 사고 경위가 복잡하거나 추가 서류가 필요한 경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어요.
진행 상태는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Q2 산재 신청을 하면 병원비를 100% 지원받을 수 있나요?
A2. 네! 산재보험이 승인되면 병원비 전액이 지원돼요.
단, 본인이 먼저 결제한 치료비(약값, 검사비 등)는 근로복지공단에 청구하면 환급 받을 수 있어요.
Q3 산재 신청 후 휴업급여는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A3. 휴업급여는 산재 승인이 난 후 4일 이상 일을 못하는 경우 지급돼요.
지급 금액은 평균 임금의 70% 수준이에요.
만약 2년 이상 치료가 필요하면 상병보상연금으로 전환돼요.
Q4 업무 중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 질환도 산재보험이 적용되나요?
A4. 네, 가능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 고객 폭언 등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도 산재로 인정될 수 있어요.
단, 업무와의 연관성을 입증할 자료(진단서, 상담 기록 등)가 필요해요.
Q5. 산재로 후유장해가 남으면 어떤 보상을 받을 수 있나요?
치료 후에도 신체적 장해가 남으면 장해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
장해 등급(1급~14급)에 따라 일시금 또는 연금 형태로 지급돼요.
간병이 필요한 경우 간병급여도 추가 지원돼요.
Q6 산재보험으로 직장 복귀 지원도 받을 수 있나요?
A6. 네! 산재보험에서는 재활과 직장 복귀를 적극 지원하고 있어요.
– 원직장 복귀 지원: 직장에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사업주에게 지원금 지급
– 타직장 취업 지원: 취업 상담, 직업 훈련, 재취업 알선 서비스 제공
– 재활 프로그램: 심리 상담, 직업 훈련, 재활 스포츠 프로그램 지원
7. 끝으로
산재보상은 업무 중 다치거나 질병이 생겼을 때 근로자를 보호하는 중요한 제도예요.
신청 방법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고 지원 제도도 다양하니 적극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