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건조기 썩은내, 건조기 하수구냄새 원인과 예방법 [ 물통비움 에러 ]
건조기로 인하여 우리 삶이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잘 사용하면 편리하지만 고장 나면 비용 들여서 또 고쳐야 합니다.
이 게시물은 건조기 콘덴서 케어를 하지 않았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되는지 자세히 공유합니다.
Index
건조기 편리성
건조기로 인하여 생활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주택의 경우 옷과 이불을 밖에 널어놓고 외출하면 비 올까 봐 걱정되는 경우도 있고, 바람에 날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파트의 경우 베란다에 헹거를 설치하고 빨래를 널어야 합니다.
건조기를 사용하면 이런 불편함은 모두 사라지고 옷감도 1~2시간 이내에 모두 마릅니다.
또한 여름철 옷에서 냄새나는 문제도 해결되고, 겨울철 옷이 안 마르는 문제도 해결되었습니다.
저도 건조기를 출시하고 8년후에 구매했습니다.
그동안 빨래를 하면 당연히 옷을 헹거에 널고 마르면 입었습니다.
물론 옷에서 냄새나는 경우도 있었지만 그때마다 다시 빨고 또 널어서 말렸습니다.
이처럼 건조기는 우리삶을 많이 바꾸어주었습니다.
건조기 썩은내 원인
건조기를 사용하다보면 건조기 내부에서 썩은내도 나고, 물통비움표시가 깜박거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통램프가 깜박거리면 제품 전원을 끄고 다시 켠 다음 동작하면 일부 동작하다가 다시 멈춥니다.
왜 이런문제가 발생될까요?
건조기 썩은내 부터 물통램프 깜박이는 문제까지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 썩은내 원인과 예방법
![LG건조기 썩은내, 하수구냄새 원인과 예방법 [ 물통비움 에러 ] 2 건조기 썩은내 원인](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7/건조기-썩은내-원인-1024x395.jpg)
LG건조기 콘덴서 하부
건조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건조기 내부에서 썩은내가 나기도 합니다.
그 이유는 콘덴서와 그 아래쪽에 먼지로 막히면서 먼지가 물과 섞이니까 콧물처럼 끈적이는 이물질이 발생하게 됩니다.
냄새 원인은 콧물처럼 끈적이는 이물질과 물이 건조기 내부에 계속 남아있으면서 점점 썩어가는 현상입니다.
위 사진은 저의 지인 건조기를 분해해 보았습니다.
콘덴서와 그 아랫부분이 새까만 먼지로 가득 찼습니다.
건조기를 동작하면 바람은 콘덴서를 통과하면서 따뜻한 바람으로 바뀝니다.
따뜻한 바람이 썩은 먼지와 찌꺼기를 통과하면서 썩은 냄새가 더 심하게 발생됩니다.
찌꺼기와 먼지가 쌓이기전에 콘덴서 케어를 자주 해주면 이 정도로 심각하게 되지 않습니다.
보통 1주일에 한번씩해주면 좋습니다.
그리고 위 사진과 같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비스에 접수하여 세척을 받아야 합니다.
![LG건조기 썩은내, 하수구냄새 원인과 예방법 [ 물통비움 에러 ] 3 LG건조기 콘덴서 세척전](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7/LG건조기-콘덴서-세척전.jpg)
LG건조기 세척전
![LG건조기 썩은내, 하수구냄새 원인과 예방법 [ 물통비움 에러 ] 4 LG건조기 콘덴서 세척후](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7/LG건조기-콘덴서-세척후.jpg)
LG건조기 세척후
세척 비용도 13~15만원정도 발생 된다고 합니다.
위 사진은 세척전과 세척후의 사진입니다.
콘덴서 아래쪽과 배수 모터부분도 모두 분해 하여 세척했습니다.
세척후 건조기에서 전혀 냄새나지 않습니다.
◎ 건조기 물통비움 에러
![LG건조기 썩은내, 하수구냄새 원인과 예방법 [ 물통비움 에러 ] 5 건조기 물버림 에러 해결방법](https://bongbongjus.com/wp-content/uploads/2024/07/건조기-물버림-에러-해결방법.jpg)
물통 비움 에러는 물통에 물이 없는 거와 상관없이 건조기에 먼지와 찌꺼기가 배수 모터의 통로를 막고 있으면 발생됩니다.
배수 모터가 동작을 해서 물통이나 배수 호스로 배출되어야 하는데 먼지 찌꺼기로 막히면 배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법은 세척하는 것이 제일 깔끔합니다.
세척 말고 임시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은 건조기 앞에 있는 호스로 물을 빼면 됩니다.
저희 것은 구매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호스가 없는 거 같습니다.
하지만 기존 제품들은 호스가 있더라고요.
보통 사진속 빨간색 네모칸으로 표시된 부분이나 뒷쪽 하단부분에 마게로 막혀있는 호스 하나가 있습니다.
그 호스의 마게를 빼면 물이 나오게 되는데 이 물이 건조기 콘덴서 아래쪽에 고여있던 물입니다.
호스가 먼지로 막히지 않는다면 마게를 빼고 사용해도 됩니다.
그러면 물통 비움 에러가 뜨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것도 오래 사용하다 보면 먼지로 막혀서 에러가 뜰 수 있습니다.
다음에 저희집 건조기 세척할 때 분해해서 세척하는 방법도 자세히 공유하겠습니다.
끝으로
건조기는 정말 편리한 가전제품입니다.
건조기가 먼지와 찌꺼기로 배수모터 통로가 막히기 전에, 콘덴서에 먼지가 쌓이기 전에 콘덴서 케어를 자주 하면 물통비움에러와 썩은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무조건 먼지가 안 쌓이는 것은 아니지만 사진 속 콘덴서 주변 먼지처럼 막히지는 않습니다.
가전제품은 사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관리하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