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BONGJUS

갤럭시 보안폴더 만들기부터 사용법까지 – 지문·비밀번호 설정 마스터

갤럭시 보안폴더 만들기부터 지문·비밀번호 설정까지, 스미싱 대비 보안 강화를 위한 핵심 방법을 정리했어요.
보안폴더를 제대로 설정하면 스미싱 피해도 막을 수 있어요.
이 글 하나로 갤럭시 보안폴더 완전 정복해보세요.




목차


1. 갤럭시 보안폴더가 중요한 이유



SKT유심교체 못한경우

언젠가부터 우리는 지갑보다 스마트폰을 더 많이 열죠.
계좌 이체, 등본 발급, 대출 서류까지 모두 모바일로 처리하니까요.

하지만 해킹이나 스미싱 링크 하나에 그 안에 있던 보안카드, 신분증 사진, 인증서가 모두 유출될 수 있어요.
실제로 피해자들의 스마트폰에는 민감한 이미지나 PDF 파일이 많아요.

이걸로 복제폰 개통 → 비대면 대출 실행까지 당하는 사례도 있었죠.
그래서 파일을 삭제하거나, 더 안전하게는 ‘보안폴더’에 따로 보관하는 게 좋아요.

그 폴더는 지문, 비밀번호, 패턴으로만 열 수 있어요. 나만 아는 방식으로요.

아래 갤럭시 핸드폰의 보안폴더 만드는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2. 갤럭시 보안폴더 만들기




  1. 갤러리의 사진파일이나 나에게 중요한 파일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V표가 체크됩니다.
  2. 더 보기를 누르세요.
  3. 보안폴더공간으로 이동이라는 부분을 누릅니다.
  4. 계속을 눌러주세요.
  5. 보안영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6. 비밀번호와 지문, 패턴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보안폴더를 기존에 사용하지 않았다면 보안폴더를 만들기 시작할 것입니다.


3. 보안폴더 바탕화면으로 이동 및 보안폴더 진입


보안폴더 만들기 4


보안폴더가 만들어졌습니다.

  1. 보안폴더 어플을 길게 눌러주세요
  2. 홈화면으로 추가라는 메뉴가 나옵니다 눌러주세요.
  3. 보안폴더를 눌러주세요.
  4. 지문이나 패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보안폴더로 이동하면 기존에 이동했던 사진이나 파일이 들어있습니다.

4. 보안폴더 비밀번호, 패턴, 지문등록방법


터치를 잘못 눌러서 비밀번호, 패턴, 지문등록 창에서 이탈했다면 다시 보안폴더 비밀번호 영역으로 진입하여 설정해줘야 합니다.
아래 보안폴더 비밀번호입력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로입니다.




  1. 핸드폰의 디스플레이 제일 위부터 아래로 쓸어내리세요.
  2. 톱니바퀴모양을 눌러주세요
  3.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선택합니다.
  4. 기타 보안설정을 눌러주세요.
  5. 보안폴더를 눌러주세요.
  6. 비밀번호와 패턴, 지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보안폴더를 만든 후, 파일은 원래 저장소에서 삭제해도 되나요?
A1. 네, 보안폴더에 안전하게 복사/이동되었으면 원본은 삭제해도 돼요.

Q2. 보안폴더 앱을 숨길 수 있나요?
A2. 설정에서 ‘앱 숨기기’ 기능을 활용하면 홈 화면에서도 안 보이게 할 수 있어요.

Q3. 보안폴더에 있는 사진은 백업되나요?
A3. 클라우드 자동 백업과는 별도로 작동해요. 별도로 갤럭시 클라우드 설정이 필요해요.

Q4. 지문 대신 얼굴 인식도 되나요?
A4. 아니요, 현재 갤럭시 보안폴더는 지문/패턴/비밀번호만 지원해요.

Q5. 보안폴더를 삭제하면 안에 있는 파일도 사라지나요?
A5. 삭제 전 백업하지 않으면 사라질 수 있어요. 반드시 백업하고 삭제하세요.


5. 끝으로


중요한 사진, 서류, 개인정보…
혹시 아직도 일반 갤러리나 다운로드 폴더에 그냥 두고 계신가요?

요즘 같은 시대엔 핸드폰이 곧 지갑이고, 금고예요.
스미싱은 단순한 링크 클릭으로 시작되지만, 피해는 상상을 초월해요.

👉 지금 바로 갤럭시 보안폴더 설정하세요.
👉 단 5분 투자로 내 모든 개인정보를 지킬 수 있어요.


함께 보면 더 좋은 글

👉 19개 은행 보이스피싱 피해보상 가능 여부 확인하기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4.9 / 5. 투표수 9573

가장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댓글 남기기

BongBongJus

광고 차단 알림

광고 클릭 제한을 초과하여 광고가 차단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반복적인 광고 클릭은 시스템에 의해 감지되며, IP가 수집되어 사이트 관리자가 확인 가능합니다.